목록전공 관련 메모 (4)
내셔널 지우그래픽
비교역적 상호의존성 : 집적에 따른 비가시적인 혜택으로, 전문 노동 인력 풀의 출현과 동업자 조합, 상공회의소, 정부 기관, 대학 등과 같은 국지적 제도의 발전 등을 의미. cf. 도시화경제와의 비교 (동종 / 이종 업종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집적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로 구분) - 비시장적 상호의존 : 노동력 풀을 위해서 집적 - 도시화 경제 : 노동력 풀과 관계없고 국지화 경제랑 관련있다. 도시화경제는 개별기업의 규모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지만 전반적인 산업발전에 의존하는 경제적 편익. - 여러 이종 산업이 대도시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회간접자본, 공공서비스)
도시지리학에서 절망의 바다란 황혼지대의 메타포 H.황혼지대 A.점이지대
유스타시 유형 1) 구조성 해수면변동 2) 빙하성 해수면변동 3) 하이드로 유스타시

발전양식 = 축적체게 + 발전양식 "축적체제"가 시대와 사회의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여러 형태를 띄는데 이 축적체제가 잘 작동하려면 "조절양식(=여러가지 법, 제도, 문화)"이 상응해야됨. 뒷받침되줘야 한단거지. ================ 따라서 조절이론이란, 특정 축적체제들이 등장하여, 자본축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것들과 조응하는 "조절양식"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조절양식임. 예를들자면 70년대에 케인지언들이 만들어낸 복지국가형태의 축적체제(=대략, 내포적축적체제=포디즘)에서 무한경쟁이 바탕이 된 축적체제로 변화할 때, 기존의 조절양식이(=사회복지, 노조의 권한 강화를 인정하는 법률들, 규제 강화 같은 것들) 새로운 조절양식(=노조의 권리 약화, 규제완화, 복지 축소 같은 법적, 제도적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