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공 이야기 - 자연지리 (3)
내셔널 지우그래픽

2. 다음은 고기후 연구와 관련된 자료이다. 괄호 안의 ㉠, ㉡에 해당 하는 용어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답 : ㄱ 나이테, ㄴ 화분 근거 : 고등교육과정, 기본서에서 찾지 못함. 누가 알려줬으면 좋겠다. 비슷하게 찾아본 것이 지구과학I II-2-3. 지질 시대과 환경 지질 시대 지구의 환경을 알기 위해서 학자들은 지층과 암석의 특징, 퇴적 구조 등의 자료를 이용한다. 또한, 석순 유공충 화석, 빙하 시추 코어, 산소 안정 동위 원소 등을 이용하여 고기후를 연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고기후와 관련한 정보는 화석과 함께 과거 지질 시대의 환경을 추론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출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4%84%EB%A1%9D%EC%8B%9C(%EA..
보른하르트 : 심층풍화 시 절리 밀도의 차에 의해 차별풍화가 일어나고, 저항성이 강한 암괴들은 핵석으로 남게 되는데, 특히 규모가 크고 돔 형태를 갖는 독립된 암괴를 보른하르트라고 한다. 돔 형태가 된 것은 하중제거에 따른 박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열대지역 - 풍화가 활발 → 기반암에 붙은 절리가 없는 암괴만 남음 - 주로 평원에 분포 온대지역 - 상대적으로 풍화가 덜 활발 → 더 높은 고도에 절리가 없는 암괴가 남음 - 산지에 위치 (우리나라 대부분의 보른하르트) 미국 조지아 주의 스톤 마운틴,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평원의 울루루(우룰루),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해안의 슈가로프가 대표적
(한국지리/지형학) 우리나라의 지체 구조 관련 옥천지향사, 옥천습곡대, 옥천대 등의 용어 혼재 (7차와 2015 교육과정, 출판사별 용어 혼재) 지향사 정의 막대한 양의 퇴적물이 쌓이는 지표면의 대규모 침강 지대 1895-1950년대까지 조산 운동을 설명하는 핵심 내용이었음 1960년대 이후 지구조 운동의 주요 이론으로 판구조론이 자리 잡으면서 용어 사용이 쇠퇴함 현대 지질학에서 1970년대 이후 지향사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음 옥천지향사 “옥천대라고도 한다. 남동쪽에는 영남지괴(嶺南地傀) 또는 소백산 육괴가 있고, 옥천대 북서쪽에 경기지괴(京畿地塊)가 있다. 영남 및 경기지괴는 선캠브라아기의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기반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지질학계의 ‘옥천지향사’ 관련 용어 사용 옥천지향사 –..